마시기만 했는데 미세플라스틱 100억개.. 인체에 끼치는 해악과 섭취경로 (종이컵, 생수, 티백, 껌 등)
플라스틱이 환경에 나쁘다는 건
다들 알고 있고 있는 내용이지만
우리가 매일 먹고 마시는
음식과 물에서도
미세플라스틱이 검출된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최근 연구에서는 미세플라스틱이 단순히 환경오염 문제를 넘어서 우리 몸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어요. 그렇다면, 미세플라스틱은 정확히 무엇이며, 건강에는 어떤 영향을 미칠까요? 한 번 알아보겠습니다.
하단에는 섭취 경로와 섭취량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나와있으니 꼭 확인하세요!
(생수 한 병에 12만 개 미세플라스틱)
미세플라스틱이란?
미세플라스틱은 크기가 5mm 이하의 작은 플라스틱 조각을 뜻하는데요
눈에 잘 보이지 않을 만큼 작기 때문에
우리가 일상에서 인지하지 못하는 사이에도 섭취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미세플라스틱을 먹으면 어떻게 될까요?
염증 반응 유발
체내에 들어오면 면역 체계가
이를 이물질로 인식하여 염증 반응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독성 물질 전달
환경 중의 독성 화학물질을 흡착하여
체내로 전달할 수 있으며,
이는 내분비 교란, 신경 손상 등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장내 미생물 균형 교란
소화기관에 축적된 미세플라스틱은
장내 미생물의 균형을 깨뜨려 소화 기능 저하
및 면역력 약화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호르몬 교란
일부 미세플라스틱 성분은
내분비계를 교란하여
생식 기능 저하, 성장 장애 등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미세플라스틱이 체내에 들어오면 면역세포가 이를 공격하려하는데,
계속해서 쌓이면 면역 체계가 과민 반응을 하거나
기능이 저하될 가능성도 있다고 합니다.
만성 염증, 자가면역질환, 심혈관 질환과의 연관성도 꾸준히 제기되고 있습니다.
연구에 따르면, 사람 1명이 일주일에 평균 5g(신용카드 한 장 크기) 정도의 미세플라스틱을 섭취하는 것으로 추정된다고 합니다. (상당히 충격적이네요.. 매주 신용카드라니..)
연간으로 치면 신용카드 50장 정도라고 합니다.

미세플라스틱 섭취 경로
1. 가장 흔히 섭취할 수 있는 경로 중 하나는 생수입니다.
1리터의 생수에는 평균 약 24만 개의 미세플라스틱 입자가 포함되어 있으며, 500ml 생수를 마시면 12만 개의 미세플라스틱을 섭취하는 셈입니다.
수돗물은 1L당 평균 4.3개의 미세플라스틱 입자가 발견되는 것을 고려한다면, 생수에는 정말 많은 미세플라스틱이 들어있는 셈이죠
2. 해산물
조개류 1인분에는 평균 90개의 미세플라스틱이 들어있습니다.
3. 종이컵
종이컵 내부의 얇은 플라스틱 코팅이 뜨거운 액체에 노출되면 미세플라스틱이 방출될 수 있습니다. 방출량은 연구별로 차이가 있긴 하지만, 종이컵 한 개당 수천 개에서 수만 개의 미세플라스틱이 검출될 수 있습니다.
특히 뜨거운 물을 담아 마시면 다량의 미세플라스틱이 검출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나노플라스틱 기준으로 2~5조 개의 플라스틱이 용출된다는 연구결과도 있습니다.
4. 티백 차
폴리프로필렌 재질의 티백을 사용하여 차를 우릴 경우, 한 잔당 약 110억 개의 미세플라스틱과 나노플라스틱 입자가 방출될 수 있습니다. 하루에 티백 차를 한 잔 마신다면, 연간 약 4조 개 이상의 미세플라스틱을 섭취하게 되니
티백의 재질을 잘 확인하셔야겠습니다.
5. 껌
껌 한 개를 씹을 때 평균 100개의 미세플라스틱 입자가 방출되며, 일부 브랜드는 최대 600개까지 방출될 수 있다고 합니다.
'생활꿀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손에 본드 순간접착제가 묻었을 때 제거 방법! (방금 해결하고 온 후기) (1) | 2025.04.17 |
---|---|
현지에서 바로 써먹기 좋은 여행 러시아어 회화 표현 몇가지!! (2) | 2025.04.06 |
쉬운 성경과 쉬운말 성경의 차이 (출판사, 번역 방향 등) (1) | 2025.04.06 |
껌 씹으면 미세플라스틱 먹는거라고..? (0) | 2025.03.26 |
술 마시면 눈이 충혈되는 이유와 그 해결 방법 👀 (2) | 2025.03.20 |
댓글